중간품평회까지 겪게 되는 우여곡절 및, 품평회를 무사히 치르기 위한 팁을 공유할게요.(☀︎ 이 시리즈의 졸업요건이나 커리큘럼은 경희대 환경조경디자인학과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전 포스트 보기 ⬇️) 🌲 조경학과 졸업작품기 ❸ - 공모전과 대상지 고르기어떤 공모전을 목표로 졸업작품을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또 좋은 대상지는 어떻게 고를까요?(☀︎ 이 시리즈의 졸업요건이나 커리큘럼은 경희대 환경조경디자인학과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soulta.tistory.com ✔️ 중간품평회란?졸업작품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공유하는 자리예요. 졸업을 준비하는 모든 학생과 지도교수님이 한 자리에 모여 진행된답니다. 1) 중간품평회까지 해야 할 일 🏃♀️☑️ 대상지/설계 주제 확정☑️ 대상지/설계 주제 관련..
어떤 공모전을 목표로 졸업작품을 준비하는 게 좋을까요? 또 좋은 대상지는 어떻게 고를까요?(☀︎ 이 시리즈의 졸업요건이나 커리큘럼은 경희대 환경조경디자인학과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전 포스트 보기 ⬇️) 🌲 조경학과 졸업작품기 ❷ - 졸업작품 전 준비 (팀결성, 지도교수 선택 등)본격적으로 졸업작품을 시작하기 전 해야할 있이 있죠! 팀 결성, 지도교수님 선택, 대상지 후보 추리기 등... 개강 전에 미리 생각해두면 좋을 부분을 다뤄보겠습니다. (❊ 이 시리즈에 나오는 soulta.tistory.com 1) 공모전 선택하기 ✅공모전을 꼭 미리 정해둘 필요는 없음개강하자마자 공고가 올라오는 공모전이 거의 없는 데다가, 설계 방향성에 따라 참가 공모전을 바꿀 수도 있거든요.🤔 환경조경대전..
이번 포스트에서는 4년 동안 실제로 조경학과를 다니며 느낀 점을 정리했어요. 어떤 부분에서 성장했는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무엇인지 공유해볼게요! 1. 환경조경디자인학과를 선택했던 이유 🤔복합적이고 다양한 이유와 동기를 바탕으로 조경과를 택했어요. 간단하게 요약하자면...환경, 생태 관련 윤리와 철학에 대한 관심 공간을 설계하는 직업에 대한 로망도시 환경을 더 살기 좋게 만들고 싶다는 야망답사, 제작, 설계 등 몸과 머리를 다방면으로 움직이는 일을 선호 사실 전 고등학교에 막 입학할 즈음까지는 게임 기획자가 되길 희망했어요. 그런데 게임 기획도 엄밀히 말하면 조경, 건축 설계랑 비슷하지 않을까요? 결국 모두 누군가가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디자인하는 일이니까요! 그 환경이 가상이냐, 현실이냐에서 차이..
최근에 친구 동생이 우리 학교 조경과로 입시 준비 중이라고 하여, 굉장히 반가운 마음이 들었어요. 학과에 대한 이런저런 질문을 받자, 제가 입시를 준비했던 해가 떠올랐죠. 어느 학과인들 다르겠냐만은 인터넷과 학과 홈페이지, 유튜브를 뒤져서 나오는 정보만 갖고 준비했었어요. 그런 단편적인 정보만으로 조경학과에서의 배움을 상상해야 했으니... 합격하고 싶다는 소망은 컸지만, 한편으로는 막연함도 컸었습니다. 최근에 다시 '경희대 환경조경디자인학과'를 검색해 보았지만 제가 입시를 했을 때와 큰 차이는 없다라고요. 조경이라는 학문이 아직 약간은 생소해서 그런 것도 같아요. 그래서 이 학과를 곧 졸업하는 사람으로서 학과의 생생한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해요. 조경과를 준비하고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
조경학과의 핵심 과정, 설계 스튜디오 수업이란? 🌿설계 스튜디오 수업은 조경학과의 핵심적인 교육 과정으로,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특정한 조경 공간을 설계하는 프로젝트 중심의 수업이에요.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에서는 보통 2학년 2학기부터 본격적으로 들을 수 있어요. 본격적으로 설계의 전 과정(엄밀히 말하면 실시설계 이전까지의 과정)을 경험해 보는 수업이자, 그전까지 배운 이론과 디자인 툴을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이번 포스트에서는 설계 스튜디오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소개할게요. 특히 조경학과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게 되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이번 글을 추천해요. 1. 설계 스튜디오 수업의 특징 🛠️이 수업에서 강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요. 대신 매주 팀과 함께 업치락 뒤치락 회의..